이번 포스트에는 RA, OA 그리고 PL에 관한 이야기와 저의 주관적인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A는 Retail Arbitrage의 줄임 말로 주변에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대형마트, 슈퍼 등 어디서든 제품을 구매하고 아마존에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대부분 기존에 존재하는 리스팅에 판매하고 리스크가 적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매우 유리한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생각됩니다.
장점
- 초기 투자자금과 리스크가 적음
- 다양한 제품을 테스트해 볼 수 있음
- 어느 정도 요령이 생기면 제품을 찾는데 쉬울 수 있음
단점
- 다른 셀러들도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이 쉽게 변동함
- 지속적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
OA는 Online Arbitrage의 줄임 말로 RA 방식과 똑같지만 모든 제품 소싱을 온라인에서 한다는 점입니다.
장점
- 초기 투자자금과 리스크가 적음
- 다양한 제품을 테스트해 볼 수 있음
- 어느 정도 요령이 생기면 제품을 찾는데 쉬울 수 있음
단점
- 다른 셀러들도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이 쉽게 변동함
- 지속적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
- 온라인에 대한 제약이 있음 (EG. 배송비, 품절, 제품 결함)
PL은 Private Label에 줄임말로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주문하여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중국 알리바바에서 제품을 주문하고 아마존에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에 있는 대부분의 셀러들은 PL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RA 비즈니스 모델은 엄청난 장점이 존재하지만 단점도 존재한다고 생각됩니다.
장점
- 진정한 Passive income을 만들 수 있음
- 초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만 어느 정도의 요령과 판매가 생기면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않고도 수익이 발생함
- 다른 셀러가 나의 리스팅에 판매할 수 없음
단점
- 초기 자금이 많이 필요할 수 있음
- 대부분 대량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판매가 안 될 시 모든 리스크과 비용을 부담해야 함
오늘은 간단하게 RA, OA 그리고 PL에 관해서 설명 해 보았는데요. 저는 현재 OA를 하고 있으며 안정적으로 괜찮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OA-> Bundle -> PL 이런 단계로 진행할 계획이며 기회게 되며 Bundle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존 > 아마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필수 툴 Keepa | Keepa 소개 (0) | 2021.01.29 |
---|---|
아마존 입점 그리고 과정 (0) | 2021.01.27 |
아마존 셀러가 사용하는 툴| OA/RA 셀러가 사용하는 툴 (0) | 2021.01.26 |
아마존 셀러 계정 FBM, FBA (0) | 2020.05.27 |
아마존 fba 가입 (0) | 2020.05.26 |
댓글